
중급 AWS 아키텍처 레퍼런스로 적당한 책
-
간략 정리
-
AWS 구축 패턴에 대해 궁금한 사람들에게 좋음 (특히, 아키텍처링에 관심 많은 개발자)
-
상세 구현 과정(핸즈온)이 없으므로 실제 구현을 위해서는 다른 도서나 self로 구현해야 함
-
2017년 도서이므로 현재 AWS 나온 서비스를 모두 설명하지는 못함 (개정판으로 배워서 바로쓰는 14가지 AWS 구축 패턴 가 있음)
-
쉬엄쉬엄 보면 3일, 빠르게 속독하면 1일에 다 볼 수 있음
-
-
느낀점
전체 약 180 페이지 분량의 매우 얇은 책으로 휴대하기 좋고 간편하고 얇은 책입니다.단, 얇다고 그 책의 내용이 부실하거나 한건 아닙니다만, 2017년에 발간된 책이다 보니 최신 AWS 서비스에 대한 설명은 안되고 있습니다.(ECS에 대한 설명은 있으나 Fargate등의 완전 관리형 서비스에 대한 설명등이 없음)
⇒ 해당 부분은 개정판인 배워서 바로쓰는 14가지 AWS 구축 패턴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책 내용은 엔터프라이즈 기업 또는 스타트업의 가정 시나리오에서 이걸 어떤 아키텍처 패턴으로 풀어야 할지 설명하고 있습니다.
실제 AWS 환경에서 이를 구축하는 코드 레벨까지 생각했다면 그건 잘못된 선택입니다.
이 책에서는 큰 개념 및 굵직굵직한 서비스들이 어떤것들이 있고 이걸 이런식으로 연결하면, 해당 문제를 풀 수 있겠구나라고 개념적으로 머리에 넣어두고 필요할 때 레퍼런스 형식으로 찾아보는게 적당한 책이 아닌가 합니다.
내용을 살펴보면 이벤트 사이트 구성, 가용성 및 BCP & DR을 고려한 구성, CICD 패턴, 서버리스(람다, API G/W)를 활용한 패턴, 컨테이너 서비스(ECS)를 활용하는 패턴, 모바일 개발 패턴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.
-
결론
해당 책은 AWS를 어느정도 알고 있으면서 개념 및 패턴 위주로 퀵하게 보고 싶을때 추천합니다.
'책 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처음 배우는 플러터를 읽고 (0) | 2020.04.29 |
---|---|
그림으로 배우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API의 구조를 읽고 (0) | 2020.04.03 |
그로킹 딥러닝 (0) | 2020.03.27 |
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리뷰 (0) | 2020.03.15 |
[도서 리뷰] 스프링4를 배우고 싶은 사람을 위한 <Spring MVC4 익히기> (0) | 2017.07.18 |